앞서 안내한 바와 같이 우울장애는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주요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 월경전불쾌감장애, 물질/치료약물로 유발된 우울장애,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우울장애, 달리 명시되는 우울장애, 명시되지 않은 우울장애 다시 구분됩니다. 이제 월경전 불쾌감장애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여성들은 12세~15세경 월경을 처음 시작합니다.(생물학적으로 첫월경 시작 나이는 개인차 있습니다.) 월경은 자궁에서 난자와 함께 준비된 내막이 수정되지 않았을때 탈락하면서 발생하는 것이며, 매월 자궁 내막이 다시 생성되는 과정으로 이어집니다. 월경 초반 주기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월경은 여성의 생리적인 주기 중 하나이며, 자궁 내막이 탈락하고 혈액이 질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입니다. 일반적으로 1개월(28일) 주기이며(주기 또한 개인차 있습니다.), 매월 자궁 내막이 다시 생성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월경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배란: 난소에서 난자가 방출됩니다.
2. 수정되지 않은 난자: 수정을 위하여 자궁 내막이 두껍게 자랍니다. 두꺼워진 내막이 이후 탈락합니다.
3. 월경: 두꺼워진 자궁 내막이 떨어져 나오면서 혈액과 함께 질을 통해 배출됩니다.
여성들은 보통 3~7일 정도의 월경 기간을 거치며, 월경주기는 평균 28일이지만 앞서 말씀바와 같이 개인차는 발생합니다. 월경은 보통 45세~55세 사이에 자연스럽게 완경됩니다.
월경 전·진행중·후 개인마다 발생 시점은 다를 수 있지만 복통, 두통, 피로감, 감정의 변화 등 다양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월경전 불쾌장애 개념
월경전 불쾌장애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는 우울증이 월경전에 관련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 월경전 불쾌장애 역학
가임기 여성의 70~90%가 다소간 이러한 증상으로 고통받는데, 2~10%에서는 증상이 심하여 이 진단기준에 맞는다고 한다. 한 review 연구는 유병률이 4.6~6.4%라고 하였다. 40개월 경과관찰 기간 동안 발병률은 2.5%이다.
■ 월경전 불쾌장애 원인
생물정신사회적 요인이 모두 관련된다. 생물학적 원인은 다양하다. 월경주기 또는 호르몬 변화에 따른 감정적 예민성은 유전적일 수도 있다. 관련 호르몬에는 estrogen, progesterone, androgen, prolactin 등이 있다. 증상은 progesterone에 비해 estrogen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서 나타난다.
정신역동적 요인으로, 월경 자체나 여성이라는 인식이 증상을 유발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견해도 있다. 즉, 이 장애는, 예를 들어 성을 부도덕하게 느끼며 월경을 부정적으로 보는 태도 등 환자의 가족과 사회의 문화적 배경, 특히 종교적 신념, 사회적 관용, 여성의 성적역할 등과 깊이 관련된다.
■ 월경전 불쾌장애 임상양상
우울과 심한 감정변동, 불안, 흥미감퇴, 주의집중장애, 식습관 변화, 수면장애, 두통, 유방통, 부종 등이며, 이는 월경 중에 나타난다. 증상들은 배란 직후 시작하여 점점 심해져 월경 시작 전에 최고조에 달하고, fol-licular phase 때 사라진다. 즉 월경 직전에 정동의 불안정, 이자극성, 불쾌감, 불안 등이 나타나고, 월경 시작 또는 그 직후에 완화된다. 기타 분노, 대인관계 갈등 증폭, 우울감, 절망감, 자기비하, 불안, 긴장, 흥분, 안절부절못함, 흥미감퇴, 집중장애, 무기력과 피로감, 식욕변화(과식 혹은 특정음식에 대한 갈망), 과수면 혹은 불면, 통제불능감, 신체증상(유방통, 유방팽창, 관절 혹은 근육통, 부종, 체중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 장애는 환자 본인뿐 아니라, 자녀나 부부관계에 부담을 주고, 직장에서 생산성을 감소시키며, 의사방문이나 약물구매 등 건강서비스를 위한 비용을 증가시킨다.
■ 월경전 불쾌장애 경과 및 예후
이 장애의 경과는 만성적이다. 완경이 다가올수록 증상은 악화되나 완경 이후 증상은 사라진다. 호르몬 대체 요법을 시행할 경우 증상이 재발할 수 있다.
■ 월경전 불쾌장애 치료
치료는 정신치료와 항우울제, 그리고 배란에 따른 호르몬 변화를 제거하는 것이다. 배란에 따른 호르몬 변화의 제거에는 경구 피임제가 흔히 사용된다. 기타 배란을 억제하는 호르몬, 항불안제, 비타민 보충, chasteberry, 미네랄 보충 등이 도움이 된다. 항우울제로는 SSRI가 주로 사용된다.
정신치료로는 인지치료 등이 있다. 기타 이완요법, 정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식이요법, 운동, 여성임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인식 재조정 등이 도움이 된다.
월경전 불쾌장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장애는 월경주기와 관련된 심각한 정신적·신체적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이는 월경전 증후군(PMS)보다 더 심각한 형태로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다음번에는 물질/약물 유도성 우울장애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출처 및 참고문헌
· 민성길·김찬형(2023): 제7판 최신정신의학. p305~306.· 권준수 외(2023): DSM-5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p212~216. > 기존 참고문헌 내용 모두 내용 삭제하였습니다.
· 권준수(2024): DSM-5-TR 간편 정신질환진단통계편람. p156~157. > 기존 참고문헌 내용 모두 내용 삭제하였습니다.
※ 추가안내
· 제7판 최신정신의학(민성길, 김찬형) 서적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위 서적은 전문적이고 보다 상세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는 서적내용 중 극히 일부 내용만 발췌하였습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직접 서적을 구입하셔서 보시는 방법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