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내 마음과 세상이 왜곡되는 순간, 세상이 꿈처럼 느껴진다면?’ 이인증/비현실감 알아보기

n년차 전문요원 2025. 3. 13. 20:03
728x90
반응형

이인증(depersonalization disor-der)/비현실감(derealization disor-der) 장애에서 이인증은 자기 자신의 마음, 자기 또는 신체가 비현실적이거나 자신과 분리된 것 같은 경험을 말한다.
 
한편 비현실감은 자신의 주변환경이 비현실적이거나 자신과 분리된 것 같은 경험을 말한다. 이러한 경험의 변화 중에서도 현실검정 능력 reality testing은 정상적이다.
 
따라서 증상이 자아 이질적 ego-dystonic이어서 환자는 고통을 느낀다. 이인증을 주로 호소하는 환자도 있고 비현실감을 주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며, 두 가지를 모두 가진 경우도 있다.
 
ICD-10에서는 이를 이인화-현실감 소실증후군 depersonalization-derealization syndrome이라 하여 기타 신경증적 장애에 포함시키고 있다.
 
진단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병적 장애로서는 매우 드물다. 이 장애의 12개월유병률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평생유병률은 2%(0.8~2.8%)이다. 남녀비율은 1:1이다.
 
평균 발병연령은 16세이나 초기 또는 중기 소아기에 시작되기도 한다. 청년기에도 흔히 나타나나, 40대 이후에는 드물다.

1. 이인증/비현실감 원인

이 장애는 다른 해리성 장애와 비교해서 덜하지만, 분명히 상당한 부분에서 감정적 학대와 감정적 태만 등 소아기의 외상적 스트레스와 관련됩니다.
 
특히 신체적 학대, 가정 내 폭력 목격, 심한 장애와 정신장애가 있는 부모 밑에서 자람, 가족이나 친한 친구의 갑작스러운 죽음이나 자살, 흔하지 않으나 성폭력 경험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또한 위험 회피형 기질과 미숙한 방어(이상화/평가절하, 투사, 행동화 등), 대인관계에서의 인지적 단절행태 cognitive disconnection schemata(학대, 태만, 박탈에 의한 감정적 결손이나 억제를 반영함)나 또는 과잉연결행태 overconnection scheme(자율성 장애와 의존으로 상처 받고 무능이 초래됨)등이 원인적 요인으로 관련됩니다.
 
현재 심한 스트레스(대인관계, 재정적 및 직업적 곤란, 전투, 교통사고), 우울과 불안, 약물사용 등도 장애를 유발합니다. 교통사고 같은 삶에 위협적인 경험을 한 경우에도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이인증/비현실감 주요증상

가. 이인증 주요 증상

이인증은 외부 세계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경험하는 상태입니다. 현실이 비현실적이고 멀게 느껴지며, 주변 환경이 마치 꿈처럼 느껴지거나, 영화 속 장면처럼 왜곡된 형태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은 "세상이 너무 이상하게 보인다."거나 "자신이 마치 외부에서 그 상황을 지켜보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주변 세계가 흐릿하거나 왜곡되어 보임
- 현실이 꿈처럼 느껴짐
- 사람이나 물체가 비현실적으로 느껴짐
- 자신이 세상에서 떨어져 있는 듯한 느낌
 

나. 비현실감 주요 증상

비현실감장애는 자기 자신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나타냅니다. 자신이 자신이 아닌 듯한 느낌을 받거나, 마치 외부에서 자신을 지켜보는 것 같은 감각을 경험하게 됩니다. 자신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자신의 감정, 생각, 또는 신체가 비현실적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 자신을 외부에서 관찰하는 듯한 느낌
- 자신의 신체나 감정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짐
- 자기 자신이 다른 사람인 것처럼 느껴짐
- 자신이 존재하지 않거나 분리된 느낌을 받음
 

다. 이인증/비현실감 공통점과 차이점

1) 공통점
두 증상 모두 현실이나 자아의 인식에 대한 왜곡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강한 스트레스, 외상 경험, 불안, 우울증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갑작스럽게 나타날 수도 있고 지속적으로 경험될 수도 있습니다.
 
2) 차이점
이인증은 외부 세계의 비현실감을 강조하는 반면, 비현실감장애는 자신의 존재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강조합니다. 즉 이인증은 "세상이 이상하다."는 느낌이고, 비현실감장애는 "내가 나 자신이 아닌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3. 이인증/비현실감 임상양상

이 장애의 핵심적 증상은 지속적 또는 재발성 이인증, 비현실감 또는 양쪽 모두를 경험하는 것입니다.
 
주로 청소년기와 청년기에 첫 발명하며, 첫 증상은 흔히 급격히 나타나는데, 대개 불안이 동반되고, 이후에도 생생히 기억하는 수가 많습니다.
 
증상의 삽화의 길이는 수 시간에서 수 주 등 다양합니다. 스트레스가 있으면 재발하기도 합니다.

4. 이인증/비현실감 경과 및 예후

발병은 점진적이기도 하고 급작스럽기도 합니다. 삽화의 기간은 짧게는 수 시간에서 수일이기도 하지만, 수주에서 수년으로 길게 끌기도 합니다.
 
경과는 삽화적이기도 하고, 지속적이기도 하고, 삽화적에서 지속적인 것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증, 새로운 또는 과자극적인 상황, 수면부족 같은 신체적 요인 등에 의해 증상이 악화됩니다.

5. 이인증/비현실감 치료방법

지지적이거나 분석적 정신치료를 시도하여 현실적응능력 및 자아의 힘을 강화해 주는 데 주력합니다. 인지행동치료, 최면치료, 정신교육. 자기최면훈련 self hypnosistraining 등도 시도됩니다.
 
행동치료로는 paradoxical inten-tion, 기록의 유지, 긍정적 보상, flooding, 등이 사용됩니다.
 
약물치료는 대개 동반된 다른 증세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이인증 자체에 특효약은 없지만, fluoxetine이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습니다.
 
최근 항우울제, 기분안정제 mood stabilizer, 정형 및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항뇌전증제 등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
· 민성길 · 김찬형(2023): 7판 최신정신의학. p372~374.

추가 안내
· 7판 최신건강의학(민성길,김찬형) 서적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위 서적은 전문적이고 보다 상세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는 서적 내용 중 극히 일부 내용만 발췌하였습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직접 서적을 구입하셔서 보시는 방법 추천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