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시간대 자살에 대한 검색량이 많습니다.
자살에 대한 생각으로 힘드시다면 먼저 기관상담 권유드리고 싶습니다. 상담이 별거 아닌 거 같지만 마음속 이유 모를 답답함, 어려움 등을 입 밖으로 꺼내면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고, 삶에 대한 동기부여를 얻으실 수 있으라 생각됩니다.
상담에 대해서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편하게 아래 기관에 전화하셔서 상담받아보세요.
마지막 포기 순간에 아무런 기대 없이 전화상담 주셨다가 실낱같은 희망의 빛을 찾는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그러니 이글을 읽고 계신 분들께서도 전화상담 이용해 보세요.
개인의 성격, 정신건강문제, 주변환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께 국가에서 지원하고 있는 서비스를 이용해 보실 수 있도록 안내해드리고 싶습니다.
▶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 24시간 운영
▶ 자살예방 SNS 상담: 애플리케이션 / 109 문자 메시지 / 카카오채널
▶ 정신건강위기상담전화: 1577-0199 / 24시간 운영
기관상담이용은 케이스별로 다릅니다.
- 자살사고: 자살예방 상담 전화 이용 또는 낮시간 자살예방센터 상담으로 자살위험성 스크리닝 필요
- 정신질환(우울 등)으로 발생한 자살사고: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 이용(정신건강복지센터 상담을 통한 정신건강 척도별 스크리닝 필요)
서울시 2025 마음 건강검진 및 상담지원
1. 사업목적
▶ 우울증 및 심한 스트레스 등 기타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는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마음건강검진 및 상담서비스를 제공하여 정신건강위험 요인 조기 발견 및 치료 유도
2. 사업근거
▶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4조(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 서울특별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대한 조례 제4조
3. 사업내용
▶ 사업기간 : 2025. 1. ~ 12.(연례반복)
▶ 지원대상 : 만 19세 이상 서울시민 등
▶ 사업수행주체 : 서울시, 자치구 보건소
▶ 사업내용 : 사업대상자가 정신의료기관으로 방문하여 마음건강검진 및 상담 실시
- 1차: 우울증 등에 대한 선별검사 및 평가
- 2~3차 : 약물치료 전 단계 심층 정신과 상담
- 정신의료기관에서 자치구 보건소로 검진비 청구(1~3차, 1인당 최대 80천원 지원)
4. 추진경위
▶ 타 시도에 비해 높은 정신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으나 적극적인 대처 미흡
(우울감 경험률 7.1%로 전국 3위)
▶ 국가 정신건강검진 체계 미흡, 서울시가 보완, 선도적으로 사업 수행
▶ 보건복지부가 우울, 불안, 중독 등의 정신건강 문제 대책 발표(`16년 2월)
▶ 전 연령층의 정신(마음)건강검진및 상담사업 필요
5. 최근 3년 추진실적
▶ 2022년도
- 검진인원: 3,845명, 유소견자:3,318명, 유소견자 비율: 86%
- 유소견자 사후관리: 검진기관치료(1,874),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4) 등
- 사업안내 홍보물(약봉투) 제작 배부
▶ 2023년도
- 검진인원: 4,062명, 유소견자:3,559명, 유소견자 비율: 87.6%
- 유소견자 사후관리: 검진기관치료(3,108),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11) 등
- 사업안내 홍보물 11월 제작 및 배포
▶ 2024년도
- 검진인원: 3,291명, 유소견자:2,955명, 유소견자 비율: 89.8%(ʼ24. 9월 기준)
- 유소견자 사후관리: 검진기관치료(2,462),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26) 등(ʼ24. 9월 기준)
- 사업안내 매뉴얼 제작 및 배포 7월
※ 자료출처: 서울시청 홈페이지
마음 건강검진 및 상담지원 안내
- 주민등록지상 서울시민분들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1~3회까지 무료로 상담 이용할 수 있습니다.(단 약물치료로 변경 시 약제비 본인 부담금 발생합니다.)
- 정신과 기록 남지 않습니다.(단 약물치료로 변경 시 건강보험공단에 기록됩니다.)
- 상담료 지급 방법: 서울시→자치구→자치구 담당→병원으로 상담료 직접 지급
- 이용방법: 자치구 담당에게 전화문의(사업비 소진 시 이용불가)→병원 문의 및 진료 예약→상담 유지 또는 종결 / 치료로 전환
- 정신과 치료 이력 조회: 본인이 자료 공개하지 않는 이상 정신과 치료 이력에 대해 타인 또는 취업기관에서 조회할 수 없습니다.
- 최근 3년간 실적 알려드리는 이유는 이미 많은 분들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니, 도움을 필요로 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적극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바라는 마음에서 입니다.
보다 정확한 정보는 자치구 담당자에게 문의하시고 안내받으시기 바랍니다.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정신건강사업안내 ‘정신건강전문요원제도 운영’ 알아보기 (1) | 2025.03.26 |
---|---|
마약청정 대한민국 필수전문 교육과정 알아보기 (0) | 2025.03.26 |
일상생활 지장과 삶의 질을 저하 시키는 기능성 신경증상장애 알아보기 (0) | 2025.03.24 |
‘2025년 정신건강사업안내’ 정신건강증진기관 및 시설현황(정신건강복지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정신재활시설, 정신요양시설, 정신의료기관) 알아보기 (0) | 2025.03.17 |
정신질환 신체증상장애와 실제 신체질병 구분 방법, 신체증상장애의 적절한 치료방법 알아보기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