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3/17 2

‘2025년 정신건강사업안내’ 정신건강증진기관 및 시설현황(정신건강복지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정신재활시설, 정신요양시설, 정신의료기관) 알아보기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17개소,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246개소,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60개소가 설치・운영되고 있으며, 정신건강증진시설로는 정신의료기관 2,202개소, 정신재활시설 357개소, 정신요양시설 59개소가 운영되고 있음. 1. 정신건강복지센터가. 기관수: 263 나. 주요기능· 지역사회 내 정신질환 예방· 정신질환자 발견・상담・정신재활 훈련 및 사례관리· 정신건강증진시설 간 연계체계 구축 등· 정신건강사업 기획・조정 ▶ 기관유형별 기관 수- 광역: 17- 기초: 246※ 화성아동(독립), 청년마음건강센터(독립) 2개소 추가부천아동(부설), 청년마음건강센터센터(부설) 15개소 제외  ▶ 운영유형별 기관 수- 직영: 95- 위탁: 1682.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가. 기관수: 60 나. 주요기능· 중독 ..

정신건강 2025.03.17

정신질환 신체증상장애와 실제 신체질병 구분 방법, 신체증상장애의 적절한 치료방법 알아보기

신체증상장애는 과거 신체화장애로 불리던 장애로, 정신적 갈등이 신체적인 증상으로 표현되어 나타나는 신체형 장애의 대표적인 장애이다. 하나 이상의 신체증상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 한 증상에서 다른증상으로 변화하기도 한다. 통증이 주가 되는 경우 특정화되고 있다. 일반 인구의 평생유병률은 5~7%로 남성보다 여성에서 5~20배 많이 발생한다.(이러한 남녀 차이는 DSM-IV 신체화장애의 증상기준에 임신, 월경 등 여성적인 것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차 진료 환자의 경우 더 빈번하며, 5~10%가 신체증상장애나 신체화장애 환자라는 보고도 있다. 교육 수준이나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많이 발병하는 경향이 있다. ■ 신체증상장애와 신체질병의 차이점(구분 방법)· 실제로 신체적인 질병이 존재하..

정신건강 2025.03.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