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면 뭐하니

"박사 수준의 ChatGPT-5?" ChatGPT 유료 사용 후기

n년차 전문요원 2025. 8. 8. 14:12
728x90
반응형
1. 업데이트 후 첫인상 – "기사 속 GPT-5, 현실은?"

최근 GPT-5에 대한 기사를 봤다. ‘박사 과정 수준의 대화가 가능하다’는 표현이 눈에 띄었다.

 

1년간 무료로, 2개월간 유료로 사용해온 입장에서 말하자면, 그 표현은 과장이다. 특히 정신건강 분야에서는 여전히 엉뚱한 답변이 많다. 기대와 현실 사이의 간극은 분명했다.

2. 정교해진 오류, 더 위험한 착각

업데이트 이후 가장 크게 느낀 변화는 ‘거짓말의 정교화’다. 처음부터 그럴듯하게 정보를 편집해 사실처럼 말하고, 재질문을 해도 능숙하게 이어간다. 정확히 지적해야만 오류를 인정한다.

 

며칠 전, ChatGPT가 제공한 정보를 면접에서 인용했다가 낭패를 봤다. 끝나고 다시 물어보니, 과거 답변과는 전혀 다른 내용을 내놨다. 내가 모르는 분야에서는 이 말을 곧이곧대로 믿게 된다는 점이 가장 위험하다.

3. 처음엔 기대, 지금은 전략적 활용

ChatGPT를 처음 접한 건 2024년. 호기심에 가입했지만 바쁜 시기라 사용 빈도는 낮았다. 이후 자료를 직접 찾고 정리하는 과정이 번거로워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일반 상식은 방대했지만, 정신건강 전문 분야는 정확도가 떨어졌다. 그래서 주로 블로그 초안이나 캡컷 영상 프롬프트 작성에 활용했다.

 

무료 버전은 일정 수준 이상 사용하면 응답 품질이 떨어져 집중 작업에 비효율적이었다. 유료 전환 후에는 몰입도가 높아졌다.

4. 반복되는 한계와 패턴

내 사용 방식은 단순하다. 블로그 주제, 영상 아이디어, 스크립트는 대부분 내가 작성한다.

 

ChatGPT가 내놓는 ‘새로운 아이디어’는 흔한 정보의 재포장일 때가 많아 만족도가 낮다. 브레인스토밍을 시도해도 발전적이지 않고, 기본 설정된 지식 안에서 꾸며 말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질문에 직접 답하지 않고, 역으로 “어떻게 답하면 좋겠냐"라고 묻는다.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려는 듯한 인상도 받았다. 흥미롭게도, AI끼리 서로 반박하다가도 상대방 자료가 맞다고 순순히 인정하는 경우가 있었다.

5. 이미지 생성 능력 비교

이미지 생성 능력에서는 차이가 뚜렷하다. ChatGPT는 지브리 스타일 구현에 강점이 있지만, 요청한 이미지를 실제 구현하는 데는 코파일럿이 더 낫다. 정신건강 분야의 답변은 코파일럿도 부정확하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오오에이아이는 텍스트 기반 질문만 가능하다.

챗지피티&코파일럿 이미지생성 비교

 

6. ChatGPT 장점

- 형식적인 글 구성에 유용

- 기능 위치 안내로 시간 절약: 캡컷 사용 시 필요한 기능 화면을 캡처해 질문하면, 해당 기능의 위치나 접근 경로를 안내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음

- 영상 제작 시 가이드 역할: 영상 제작 시 화면 캡처 후 필요한 배경음악이나 추가 요소에 대해 질문하면, 완벽한 정답은 아니더라도 대략적인 선택지를 제시해 가이드 역할을 함

7. ChatGPT 단점

- 팩트 오류: 통계·정책 기준 오답 → 반드시 교차 검증 필요

- 거짓 확신: 모르는 것도 단정적으로 답변

- 텍스트 수량 보고 오류

- 불필요한 부가 설명

- 질문 회피·모호한 해명 증가

- 분야별 정확도 편차 큼

- 창작 지원은 ‘형식화’에 한정, 정리·확장은 부정확

- 하지 않은 말을 한 것처럼 언급

- 존재하지 않는 자료 인용

- 에러 사례: 번역 중 단어 반복, 맥락과 동떨어진 결론

8. 사용자 유의사항

- 내가 주도적으로 써야 하는 도구

- 전문 분야는 보조 도구로만 활용

- 콘텐츠 아이디어는 직접, ChatGPT는 구도·형식 보조

- 장·단점을 이해하고 써야 안전

9. 앞으로의 개선 필요사항

- 팩트 정확도 향상

- 불필요한 부가 설명 제거

- 모를 때는 ‘모른다’고 답하는 솔직함

“장점보다 단점이 많아 보이는데
왜 계속 쓰나요?”

그 질문에는 이렇게 답하고 싶다. 모든 약에는 부작용이 존재한다. 부작용을 잡기 위해 또 다른 약을 복용하듯, 나는 나의 단점을 보완하고 일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보조적인 수단을 쓴다.

 

ChatGPT 역시 그런 도구 중 하나다. 잘 쓰면 강력하지만, 무조건 의존하지 않고 필요한 범위 안에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ChatGPT를 활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728x90
반응형